카테고리 없음
“금세”와 “금새”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표현
트래벌러
2025. 8. 13. 09:05
반응형
1. 금세의 의미와 어원
- 금세 = ‘금시에’의 줄임말
- 뜻: 지금 당장, 곧, 바로
- 예문:
- “그 일은 금세 끝낼 수 있어.”
- “비가 오더니 금세 그쳤네.”
2. 금새(틀린 표현)
- ‘금새’라는 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잘못된 표기입니다.
- 다만, ‘금새’가 ‘물건의 값이나 시세’를 의미하는 단어로 쓰일 때는 맞습니다.
- 예: “올해 쌀 금새가 많이 올랐다.”
- 여기서 ‘금새’는 ‘값, 시세’라는 뜻이므로 맞는 표현입니다.
3. 정리
표현뜻맞는지 여부
금세 | 지금 바로, 곧 | ✅ 표준어 |
금새 | 물건 값, 시세 | ✅ 표준어 |
금새 | ‘금세’(금시에)의 잘못된 표기 | ❌ 비표준어 |
혹시 원하시면 제가 금세 vs 금새 차이를 더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암기 팁도 알려드릴까요?
나의 말:
Continue writing please
ChatGPT의 말:
좋아요, 그럼 금세 vs 금새를 헷갈리지 않게 기억하는 암기 팁을 알려드릴게요.
4. 암기 팁 – 이렇게 구분하면 헷갈리지 않는다
- 시간 의미는 ‘세’
- ‘금세’는 시간과 관련된 의미예요.
- ‘세’는 ‘시세(時勢)’나 ‘세월(歲月)’처럼 시간과 흐름을 연상하면 기억하기 쉽습니다.
- 예: “숙제를 금세 끝냈다.” → 시간 의미
- 값·시세 의미는 ‘새’
- ‘금새’는 값이나 시세를 뜻합니다.
- 여기서 ‘새’는 ‘값새, 시새’처럼 ‘물건 값’을 나타내는 옛말에서 온 표현입니다.
- 예: “올해 쌀 금새가 작년보다 비싸다.” → 시세 의미
5. 잘못 쓰기 쉬운 예문과 올바른 고치기
❌ “네가 한 말을 금새 잊어버릴 줄은 몰랐어.”
✅ “네가 한 말을 금세 잊어버릴 줄은 몰랐어.”
❌ “이번 달 전세 금세가 크게 올랐다.” (시세 의미이므로 맞지만 혼동될 수 있음)
✅ “이번 달 전세 금새가 크게 올랐다.”
6. 마무리 정리
- 금세: 곧, 지금 당장 (시간)
- 금새: 값, 시세 (가격)
- 발음은 같지만 의미와 쓰임이 전혀 다르니, 문맥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.
7. 확장 예문으로 비교 학습
(1) 금세 – 시간 의미
- “비가 오더니 금세 그쳤네.”
- “그는 영어를 금세 배웠다.”
- “피자를 시켰는데 금세 도착했어.”
➡️ 여기서 ‘금세’는 지금 바로, 순식간에의 의미로 쓰였습니다.
(2) 금새 – 시세 의미
- “올해 감자 금새가 작년보다 두 배 올랐다.”
- “금값 금새가 계속 변동 중이다.”
- “집값 금새가 너무 비싸서 이사 가기가 어렵다.”
➡️ ‘금새’는 물건 값이라는 명사이므로, 시간과 전혀 관계없습니다.

8. 어원과 역사적 배경
- 금세: ‘금시에’(지금 이때에)의 줄임말. 옛 문헌에도 ‘금시’, ‘금새’와 같은 형태가 보이지만, 현대 표준어에서는 ‘금세’로 확정.
- 금새: 한자 ‘金勢’ 또는 ‘金貰’에서 유래한 말로, **금(돈) + 새(시세)**라는 조합.
9. 시험·글쓰기에서 자주 나오는 함정
- 발음이 같아 문맥을 보지 않으면 틀리기 쉽다.
- **공무원·한국어능력시험(TOPIK)**에서는 ‘금세’를 ‘금새’로 쓰는 맞춤법 문제 자주 출제.
- 네일아트 금새? 금세?
- “네일아트가 금세 벗겨졌다.” (시간 의미 → 금세)
- “네일아트 금새가 비싸졌다.” (가격 의미 → 금새)
10. 외우기 위한 리듬 문장
“시간은 금세, 가격은 금새”
짧고 운율이 맞아 오래 기억됩니다.
학교 시험, 공무원 시험, 자격증 시험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암기법이죠.
11. 결론
- 금세: 지금 바로, 곧, 순식간에 (시간)
- 금새: 물건의 값, 시세 (가격)
- 둘은 발음이 같아도 의미와 품사가 달라서 문맥에 맞게 구분해야 함.
12. 시험 대비 요약표
구분뜻품사예문자주 쓰이는 상황
금세 | 지금 바로, 곧, 순식간에 | 부사 | “숙제를 금세 끝냈다.” | 시간·속도 표현 |
금새 | 물건의 값, 시세 | 명사 | “올해 쌀 금새가 비싸졌다.” | 경제·거래·물가 |

13. 하루 완벽 암기 퀴즈
(1) 다음 중 ‘금세’를 써야 하는 문장은?
① 비가 오더니 ( ) 그쳤다.
② 감자 ( )가 두 배로 올랐다.
③ 영화가 ( ) 시작할 거야.
④ 집값 ( )가 너무 높다.
정답: ①, ③ → 시간 의미이므로 ‘금세’
(2) 다음 중 ‘금새’를 써야 하는 문장은?
① 전세 ( )가 조금 내렸다.
② 숙제를 ( ) 마쳤다.
③ 물가 ( )가 안정됐다.
④ 여행 준비를 ( ) 끝냈다.
정답: ①, ③ → 가격·시세 의미이므로 ‘금새’
14. 기억력 강화 꿀팁
- 시간 = 세월 = 금세
- ‘세’를 보면 ‘세월’이 떠오르고, 세월은 시간과 관련이 있으니 시간 의미.
- 가격 = 시세 = 금새
- ‘새’가 들어간 ‘시새’라는 말이 ‘시세’와 같으니 가격 의미.
15. 마무리 문장
“시간이 빠르면 금세, 물가가 오르면 금새”
이 짧은 문장 하나로 평생 헷갈리지 않습니다.
학교 시험, 공무원 시험,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등에서 이 차이는 정말 자주 나오니 반드시 익혀두세요.